.Photon Polarization: The Next Breakthrough in Fusion Technology?
http://blog.naver.com/mssoms
http://jl0620.blogspot.com
https://www.facebook.com/junggoo.lee.9
.Photon Polarization: The Next Breakthrough in Fusion Technology?
광자 분극: 융합 기술의 차세대 혁신?
주제:에너지학과일반상대성이론빛수학광자플라즈마 물리학프린스턴 플라즈마 물리학 연구실전파토폴로지 작성자: DOE/프린스턴 플라즈마 물리학 연구소 2024년 6월 7일 융합에너지 아트 컨셉 최근 연구에 따르면 광자의 편광은 다양한 환경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는 위상학적 특성이며, 이는 플라즈마 가열에 사용되는 광선의 설계를 개선하여 융합 연구를 향상시킬 수 있는 통찰력입니다. 크레딧: SciTechDaily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광자 분극은 다양한 환경에서 일정하며 융합 에너지 발전을 위한 플라즈마 가열 방법을 잠재적으로 개선할 수 있습니다. 문자 그대로나 비유적으로나 빛은 우리 세상에 널리 퍼져 있습니다. 어둠을 없애고, 대륙 전체에 통신 신호를 전달하며, 먼 은하계부터 미세한 박테리아까지 보이지 않는 것을 드러냅니다. 과학자들이 녹색 전기를 생산하기 위해 핵융합 공정을 활용하기 위해 노력하는 동안 빛은 토카막이라고 알려진 고리 모양 장치 내에서 플라즈마를 가열하는 데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최근 프린스턴 플라즈마 물리학 연구소(Princeton Plasma Physics Laboratory)의 연구자들은 광자의 기본 특성 중 하나인 편광이 토폴로지라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즉, 광자가 다양한 물질과 환경을 통해 전이하더라도 편광이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의미입니다. Physical Review D 에 발표된 이러한 발견은 보다 효과적인 플라즈마 가열 기술과 핵융합 연구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융합 연구에 대한 시사점 극성은 전기장이 광자 주위를 이동할 때 취하는 방향(왼쪽 또는 오른쪽)입니다. 기본적인 물리 법칙으로 인해 광자의 편광은 이동 방향을 결정하고 경로를 제한합니다. 결과적으로, 단일 유형의 편광을 갖는 광자로만 구성된 광선은 주어진 공간의 모든 부분으로 퍼질 수 없습니다. "광자의 기본 특성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면 과학자들이 플라즈마 가열 및 측정을 위한 더 나은 광선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라고 미국 에너지부(DOE) PPPL 의 수석 연구 물리학자이자 논문 공동 저자인 Hong Qin은 말했습니다.
연구. 광자 컨셉 아트 빛을 구성하는 입자인 광자에 대한 예술가의 개념, 플라즈마를 교란시킵니다. 크레딧: Kyle Palmer / PPPL 커뮤니케이션 부서
복잡한 문제 단순화
광자 연구는 더 크고 더 어려운 문제, 즉 융합에 필요한 고온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플라즈마의 장기간 지속되는 교란을 자극하기 위해 빛의 광선을 사용하는 방법을 해결하는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위상파동으로 알려진 이러한 흔들림은 플라즈마와 토카막의 외부 가장자리 진공과 같은 서로 다른 두 영역의 경계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그것들은 특별히 이국적이지는 않습니다. 지구 대기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며, 그곳에서 북미와 남미의 날씨에 영향을 미치는 태평양의 따뜻한 물이 모이는 엘니뇨를 생성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플라즈마에서 이러한 파동을 생성하려면 과학자들은 빛, 특히 물리학자들이 이미 플라즈마를 가열하는 데 사용하는 전자레인지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종류의 무선 주파수 파동에 대해 더 잘 이해해야 합니다. "우리는 융합을 위한 유사한 파동을 찾으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라고 Qin은 말했습니다. "그들은 쉽게 멈추지 않기 때문에 플라즈마에서 생성할 수 있다면 플라즈마 가열 효율을 높이고 융합 조건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 기술은 종을 울리는 것과 유사합니다. 망치를 사용하여 종을 쳐서 소리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금속을 움직이게 하는 것처럼, 과학자들은 플라즈마에 빛을 쳐서 특정 방식으로 흔들리도록 하여 지속적인 열을 생성하기를 원합니다.
-광자 운동의 본질을 밝히다
광자의 편광이 위상학적이라는 사실을 발견한 것 외에도 과학자들은 광자의 회전 운동이 내부 구성 요소와 외부 구성 요소로 분리될 수 없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지구를 생각해 보십시오. 지구는 둘 다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낮과 밤을 만들고 태양 주위를 공전하여 계절을 만듭니다. 이 두 가지 유형의 모션은 일반적으로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축을 중심으로 한 지구의 회전은 태양 주위의 회전에 의존하지 않습니다. 실제로 질량이 있는 모든 물체의 회전 운동은 이러한 방식으로 분리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이 질량을 갖지 않는 광자와 같은 입자에 대해 사실인지는 불분명했습니다. “대부분의 실험자들은 빛의 각운동량이 스핀과 궤도 각운동량으로 분리될 수 있다고 가정합니다.”라고 논문의 주저자이자 플라즈마 물리학 프린스턴 프로그램의 대학원생인 Eric Palmerduca가 말했습니다. “그러나 이론가들 사이에서는 이러한 분할을 수행하는 올바른 방법이나 이러한 분할이 가능한지에 대해 오랜 논쟁이 있어 왔습니다.
-우리의 연구는 광자의 각운동량이 스핀과 궤도 구성요소로 분할될 수 없음을 보여줌으로써 이 논쟁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더욱이 팔머두카(Palmerduca)와 진(Qin)은 광자의 위상학적, 즉 편광과 같은 변하지 않는 특성으로 인해 두 운동 구성 요소가 분리될 수 없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이 새로운 발견은 실험실에 영향을 미칩니다. Palmerduca는 “이러한 결과는 우리 실험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에 대한 더 나은 이론적 설명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러한 발견은 빛의 행동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여 융합 연구를 위한 위상파동을 생성하려는 연구원의 목표를 더욱 발전시킵니다. 이론 물리학에 대한 통찰 Palmerduca는 광자 발견이 이론 물리학에서 PPPL의 강점을 입증한다고 지적합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헤어리 볼 정리(Hairy Ball Theorem)로 알려진 수학적 결과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론에 따르면 털로 덮인 공이 있으면 공 어딘가에 카울릭이 생기지 않고는 모든 털을 편평하게 빗질할 수 없습니다. 물리학자들은 이것이 동시에 모든 방향으로 광자를 보내는 광원을 가질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생각했습니다.”라고 Palmerduca는 말했습니다. 그러나 그와 진은 정리가 광자 전기장이 회전할 수 있다는 것을 수학적으로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이것이 올바르지 않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번 발견은 또한 Palmerduca가 20세기의 가장 중요한 이론 물리학자 중 한 명으로 묘사한 전 프린스턴 대학교 물리학 교수인 Eugene Wigner의 연구를 수정했습니다. Wigner는 Albert Einstein의 상대성 이론에서 파생된 원리를 사용하여 우주의 가능한 모든 기본 입자, 심지어 아직 발견되지 않은 입자까지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의 분류 시스템은 질량이 있는 입자에 대해서는 정확하지만 광자와 같은 질량이 없는 입자에 대해서는 부정확한 결과를 생성합니다. Palmerduca는 "Qin과 나는 토폴로지를 사용하여 질량이 없는 입자에 대한 Wigner의 분류를 수정하여 동시에 모든 방향으로 작동하는 광자에 대한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향후 방향 향후 연구에서 Qin과 Palmerduca는 열을 흡수하는 도움이 되지 않는 변종을 만들지 않고 플라즈마를 가열하는 유익한 위상파동을 생성하는 방법을 탐구할 계획입니다. Qin은 "일부 유해한 토폴로지 파동은 의도치 않게 자극될 수 있으며, 우리는 이를 이해하여 시스템에서 제거할 수 있기를 원합니다"라고 Qin은 말했습니다.
“이런 의미에서 위상파동은 새로운 종류의 곤충과 같습니다. 일부는 정원에 유익하고 일부는 해충입니다.” 한편, 그들은 현재의 연구 결과에 매우 기뻐하고 있습니다. Qin은 "우리는 위상파동을 자극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광자에 대한 보다 명확한 이론적 이해를 갖고 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제 핵융합 에너지 탐구에 사용할 수 있는 무언가를 만들 차례입니다."
참조: Eric Palmerduca 및 Hong Qin의 "Photon topology", 2024년 4월 2일, Physical Review D . DOI: 10.1103/PhysRevD.
https://scitechdaily.com/photon-polarization-the-next-breakthrough-in-fusion-technology/
메모 2406091940 나의 사고실험 qpeoms 스토리텔링
msbase는 회전하지 않으면 속성상 qpeoms.xyz 편광(1)이다. 이는 동시에 모든 방향으로 '광자(1)를 보내는 광원을 가질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qpeoms 정리가 '광자 전기장이 회전할 수 있다'는 것을 수학적으로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이것이 올바르지 않다는 것을 다시 발견한다. 이로써 우주의 가능한 모든 기본 입자, 심지어 아직 발견되지 않은 입자까지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닫았다. 허허.
그런데 이는 질량이 있는 입자에 대해서는 정확하지만 광자와 같은 질량이 없는 입자에 대해서는 부정확한 결과를 생성한다. 그래서 다시 반전의 반전을 거듭하여 광자의 oms.value 분극의 구체화로 동시에 '모든 방향으로 작동하는 광자에 대한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어허.
Memo 2406091940 My thought experiment qpeoms storytelling
If msbase is not rotated, its nature is qpeoms.xyz polarization (1). This means that you cannot have a light source that sends photons (1) in all directions at the same time. However, we again find that this is incorrect because the qpeoms theorem does not mathematically take into account that the 'photon electric field can rotate'. It was realized that this could explain all possible elementary particles in the universe, even those that had not yet been discovered. haha.
However, although this is accurate for particles with mass, it produces inaccurate results for particles without mass such as photons. So, by repeating the reversal of the inversion, we showed that by specifying the oms.value polarization of the photon, ‘we can provide an explanation for photons operating in all directions’ at the same time. Uh huh.
vix.a'6//vixx.a(b1,g3,k3,o5,n6)
b0acfd|0000e0
000ac0|f00bde
0c0fab|000e0d
e00d0c|0b0fa0
f000e0|b0dac0
d0f000|cae0b0
0b000f|0ead0c
0deb00|ac000f
ced0ba|00f000
a0b00e|0dc0f0
0ace00|df000b
0f00d0|e0bc0a
sample qoms (standard)
0000000011=2,0
0000001100
0000001100
0000010010
0001100000
0101000000
0010010000
0100100000
2000000000
0010000001
sample pms (standard)
q0000000000
00q00000000
0000q000000
000000q0000
00000000q00
0000000000q
0q000000000
000q0000000
00000q00000
0000000q000
000000000q0
Sample msoss
zxdxybzyz
zxdzxezxz
xxbyyxzz
zybzzfxzy
cadccbcdc
cdbdcbdbb
xzezxdyyx
zxezybzyy
bddbcbdca
.Do you know Nam Se-woo, a Korean scientist who was a world star in quantum physics?
세계 양자 물리학계 스타였던 한국계 과학자 남세우를 아십니까?
삼성 호암상 물리·수학상 수상 故 남세우 박사의 NIST 동료들 김윤덕 기자 입력 2024.06.10. 00:02 3 지난 5월 31일, 삼성 호암상 과학상을 수상한 故남세우 박사를 축하하기 위해 한국에 온 미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과학자들. 킴벌리 브리그만(앞줄 오른쪽에서 둘째)부터 시계 방향으로 리처드 미린, 크리스탄 코윈(연구분과장), 제임스 쿠시메릭(연구실장), 앨런 믹돌, 황지성, 크리스터 샐름 박사다.
이들은 시상식장에 깔린 카펫 문양이 남 박사가 개발한 '단일 광자 검출기' 패턴과 비슷하다며 웃었다. /김지호 기자 지난 5월 31일, 삼성 호암상 과학상을 수상한 故남세우 박사를 축하하기 위해 한국에 온 미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과학자들. 킴벌리 브리그만(앞줄 오른쪽에서 둘째)부터 시계 방향으로 리처드 미린, 크리스탄 코윈(연구분과장), 제임스 쿠시메릭(연구실장), 앨런 믹돌, 황지성, 크리스터 샐름 박사다. 이들은 시상식장에 깔린 카펫 문양이 남 박사가 개발한 '단일 광자 검출기' 패턴과 비슷하다며 웃었다. /김지호 기자
“빛의 입자를 감지해 세상의 속도를 높인 연구자”로 평가받는 남세우는, 세계 양자물리학계 스타였다. 양자 기술을 둘러싼 미·중 패권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세계에서 가장 효율적인 감도로 빛을 탐지하는 ‘단일 광자 검출기’를 개발해 양자 컴퓨팅, 양자 통신 분야의 비약적 발전을 이루게 한 그는, 이 분야 최고 권위인 ‘존 스튜어트 벨 상’을 받은 데 이어, 2022년 노벨 물리학상에 인용됐다.
그가 지난 1월 53세 나이로 세상을 떠났을 때 미국 물리학계는 슬픔에 잠겼다. 남세우가 25년 몸담아온 미국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는 “우리는 뛰어난 과학자, 사려 깊은 멘토, 훌륭한 친구를 잃었다”며 “세계 물리학계에 커다란 구멍이 생겼다”고 애도했다. 남세우는 사후(死後) 그 이름이 모국에 알려졌다. 호암재단은 생존하는 사람에게만 시상한다는 원칙을 깨고 남세우를 ‘삼성호암상 물리·수학 부문 수상자’로 선정했다. 지난 31일 시상식에 참석한 아내 킴벌리 브리그먼 박사와 NIST 동료 과학자 6명에게서 모국에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은 남세우 박사 이야기를 들었다.
그들은 남 박사를 “고집은 셌지만 유머가 넘치고 한없이 겸손했던 과학자”로 추억했다. ◇ ‘세상의 속도’를 높인 물리학자 -시상식에 참석하기 위해 다들 자비로 왔다고 들었다. 제임스 쿠시메릭: “NIST와 남세우 박사를 대표해서 왔다. 기쁨과 슬픔이 교차할 킴벌리에게 힘을 보태주고 싶었다.” -호암상을 알고 있었나? 킴벌리 브리그먼: “남편이 세상을 떠난 뒤 이메일을 정리하다 수상 소식이 담긴 편지를 발견했다.
진짜인지 가짜인지 몰라서 NIST 동료인 황지성 박사에게 물었더니 진짜라고 확인해주더라(웃음). 남편의 외삼촌인 김충기 전 카이스트 교수가 31년 전 호암상을 받은 인연이 있어서 남편 또한 매우 영예롭게 생각했을 것이다.” -한국에선 남세우 박사를 잘 모른다. 그의 업적을 설명해주신다면. 크리스터 샐름: “우리는 빛을 통해 세상을 인지한다. 빛의 가장 작은 단위를 광자(photon)라고 하는데, 빛이 없는 상태에서도 이 광자를 99% 탐지하고 측정하는 기술을 남 박사가 만들어낸 것이다.
이 기술은 물리학의 기초 영역부터 모든 응용 분야에 적용되며 엄청난 파급을 일으켰다.” -구체적으로 어떤 분야에 활용되나. 크리스터: “양자 컴퓨터, 양자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 인간의 두뇌를 모방하는 ‘뉴로모픽’ 컴퓨팅, 우주 암흑 물질 탐색, 보안 통신에 사용되는 ‘양자 키’ 처리에도 활용된다. 특히 지구와 위성, 우주정거장 간의 통신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준다. 지금보다 훨씬 더 빠르고 안전한 방식으로 정보를 보낼 수 있다.” 리처드 미린: “우주, 국방, 자동차, 보안 산업을 비롯해 의학 영상 기기에도 단일 광자 검출 기술이 사용된다.”
-스탠포드대학에서 박사 과정을 밟을 때 이 연구를 처음 시작했던데. 킴벌리: “스탠포드대학의 블라스 카브레라 교수 밑에서 우주의 암흑 물질을 찾는 초전도 탐지기를 개발했고, NIST로 오면서 초저온에서 작동하는 초전도 고효율 검출기를 개발해 충돌하는 모든 광자의 99%를 탐지해내는 데 성공했다.” -20년에 걸친 연구였던데 포기하고 싶지 않았을까? 황지성: “연구하다 보면 새로운 장애가 발견되고 한계에 부딪히지만 남 박사는 이를 해결하고 넘어서는 능력이 탁월했다. 작은 혁신들을 시도했고, 그것들이 쌓여 커다란 혁신을 이뤘다.”
지난 1월 53세 나이로 세상을 떠난 그는 세계 양자 물리학계의 스타였다. /NIST 제공 남세우 미국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종신 연구원이 실험실에서 작업하는 모습.
지난 1월 53세 나이로 세상을 떠난 그는 세계 양자 물리학계의 스타였다. /NIST 제공 ◇ 물리학 50년 논쟁에 종지부 -남세우 박사의 단일 광자 검출기는 2022년 노벨 물리학상에도 인용됐다. 앨런: “알랭 아스페, 존 클라우저, 안톤 차일링거는 세계 물리학계의 50년 논쟁거리였던 ‘벨의 정리(Bell’s Inequality Theorem)’, 즉 양자 얽힘(Quantum entanglement)을 증명한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떨어져 있는 두 입자가 서로 강력한 상관관계를 갖는다는 ‘양자 얽힘’ 이론은 아인슈타인, 보어, 슈뢰딩거 등 위대한 물리학자들 사이에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는데, 이를 실험적으로 증명하는 데 남세우 박사의 단일 광자 검출기가 결정적 역할을 했다.”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어야 하지 않을까? 킴벌리: “노벨상을 받기에 남편은 너무 젊었던 것 같다(웃음). 오히려 남편은 2010년부터 광자 탐지 칩과 시스템을 제공하며 긴밀히 협력해온 오스트리아의 안톤 차일링거 박사팀이 노벨상을 공동 수상한 것을 무척 기뻐했다. 자신이 기여한 것을 자랑스러워했다.”
리처드: “남 박사는 답을 찾기 위해 과학을 하지, 상을 받기 위해 과학을 하는 사람이 아니었다.” 크리스탄 코윈: “그는 과학계의 협력을 가장 중요하게 여겼다. 경쟁하는 그룹에게도 자신의 기술을 기꺼이 공유했다.”
◇ 경쟁 그룹과도 기술 공유
-국적이 다른 여러 연구 그룹과의 협업이 활발했더라. 앨런: “보통 과학자들은 자기만의 좁은 아이디어에 국한해서 연구하는데 남 박사는 단일 광자 검출부터 핵전이에 이르기까지 워낙 넓은 범위를 연구하다 보니 콘퍼런스를 하면 1만명이 모였다. 그래서 실험실에선 세우와 페이스를 맞추려 하지 말라고, 그러면 다친다고 경고했다(웃음).” 크리스탄: “세우는 긍정적이고 열정적인 사람이었다. 뭣보다 능력이 뛰어나서 과학자들이 모이면 ‘세우와 널 비교하지 마라’며 서로 위로한 뒤 일을 시작했다(웃음).” 킴벌리: “남편은 늘 새로운 아이디어를 요구했다. 더 빨리, 더 정확히, 더 노력하라고 외쳐서 동료들이 힘들었을 것이다(웃음). 코로나로 재택근무를 할 때도 남편은 아이들과 노인들을 위한 코로나 바이러스 검출기를 개발했다. 바이러스 노출 여부를 스스로 감지하게 해주는 장치였다.”
-일중독이었을까? 킴벌리: “남편은 자신의 일에 5가지 확고한 신념을 갖고 있었다. 첫째, 열심히 한다. 둘째, 너무 작아서 할 수 없는 연구란 없다(No task was too small to do). 셋째, 공유(sharing)와 다양성이 현장(field)을 더 좋게 만든다. 넷째, 다른 연구자들을 북돋고 신뢰하자. 다섯째, 재미있게 일하자.” -한국 물리학계와도 협업했을까?
킴벌리: “초고효율 단일 광자 검출이 굉장히 특수한 분야이고 거기에 쏟을 수 있는 시간과 자원이 제한돼 있기 때문에 협업을 요청해온 과학자들과만 교류한 것으로 안다.”
크리스탄: “한국은 양자 과학이 초기 단계라 기회가 많지는 않았을 것이다.” 황지성: “한국에도 훌륭한 물리학자들이 많다. 남 박사의 수상으로 양자 과학이 좀 더 조명받게 될 것이다.”
-남세우 박사가 한국에 너무 늦게 알려졌다며 아쉬워하는 분이 많더라. 킴벌리: “지금이 딱 좋은 시기다. NIST 동료들이 남편의 연구를 이어가고 있으니 한국 과학자들이 연락해주시면 좋겠다(웃음).” 삼성호암상 수상자들이 31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삼성호암상 시상식’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에서 둘째가 과학상 물리·수학부문 수상자인 故 남세우 박사의 아내 킴벌리 브릭먼 미 국립표준기술연구소 연구원이다. 이날 남편을 대신해 수상했다. /호암재단 제공
삼성호암상 수상자들이 31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삼성호암상 시상식’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에서 둘째가 과학상 물리·수학부문 수상자인 故 남세우 박사의 아내 킴벌리 브릭먼 미 국립표준기술연구소 연구원이다. 이날 남편을 대신해 수상했다. /호암재단 제공
◇ 반도체 代父 김충기 교수의 조카
-남세우 박사와는 어떻게 만나 결혼했나.. 킴벌리: “둘 다 NIST 연구원이었지만 남편은 콜로라도 연구소에서, 나는 워싱턴 D.C 연구소에서 일했기 때문에 15년 동안은 서로 모르고 지냈다. 그러다 오바마 대통령 시절 내가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자문실에 파견을 나갔는데 후임으로 온 사람이 세우였다. 인수인계를 위해 자료를 전달하고 설명하다 보니 일과 후에도 함께 있는 시간이 많아졌다. 전혀 다른 성격인데도 잘 맞았다.”
앨런: “둘 다 고집이 세다(웃음).” -어떤 남편이었나? 킴벌리: “에너지가 넘쳤다. 요리하는 걸 무척 좋아했고, 산악 자전거, 스노보드를 즐기는 스포츠광이었다. 휴가지에서도 가만히 앉아 있질 않았다. 심심할 틈 없이 사는 남편의 모습을 좋아했던 것 같다.” -어떤 요리를 즐겨 만들었는지. 킴벌리: “고급 요리부터 핫도그 같은 길거리 간식까지 다 만들었다. 연구소가 있는 볼더(콜로라도)는 작은 도시라 한국 식당이 없어서 남편이 직접 불고기, 갈비찜을 만들었다. 여름에 만들어준 팥빙수는 정말 맛있었다.” -부친이
고체물리학계 권위자인 남상부 전 라이트대 교수라던데.
킴벌리: “은퇴하셨지만 지금도 연구하고 논문을 쓰신다. 한국전쟁 후 미국으로 유학 왔다가 결혼한 부모님은 오하이오주 데이턴에 살았는데 어머님이 만삭의 몸으로 잠시 귀국했다가 세우를 낳게 돼 ‘서울 출생’이 됐단다(웃음). 여동생도 MIT를 나왔다.”
-외삼촌인 김충기 전 카이스트 교수는 한국 반도체 산업의 기틀을 닦은 주역이다. 킴벌리: “남편이 삼촌 얘기를 많이 했다. 물리학자인 아버지와 함께 세우가 물리학에 흥미를 느끼고 파고들게 하는 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분이다. 그분의 자녀들과 수상 소식을 공유하며 함께 기뻐했다.”
◇ “동료들에게 수상의 功 돌렸을 것 -14개월간 뇌암과 투병하다 떠난 남 박사의 마지막 말은 무엇이었나. 킴벌리: “암 진단은 받았지만 비관적인 상태는 아니어서 풀타임으로 일하며 치료를 받았는데, 작년 12월 갑자기 안 좋아지면서 1월에…. 너무도 급작스러운 상황이라 마지막 대화를 나눌 시간이 없었다.”
앨런: “지난여름 만났을 때 세우는 말했다. 나는 꼭 이겨낼 거라고. 세우의 예측은 늘 맞았기 때문에 당연히 이겨낼 거라고 믿었는데, 그게 마지막이었다.” -장례식 때 국경을 초월해 과학자들이 와서 추모했다고 하더라. 킴벌리: “각자 다른 시간, 다른 장소에서 남편을 만났을 텐데도 다들 똑같은 이야기를 하더라. 유머가 넘치고, 고집이 세고, 겸손하며, 뛰어난 과학자였다고.”
앨런: “그는 자기 업적을 동료들과 나누려 지독히도 애를 썼다. 보통 상은 한 사람에게 주어지는데 세우는 동료들 이름도 넣어달라고 주최 측과 싸웠다. 자기가 받은 상을 본떠 여러 개를 만든 뒤 동료들에게 나눠주기도 했다(웃음).” 킴벌리: “남편은 자신의 모든 업적을 팀의 공으로 돌렸다. 남편이 살아 있었어도 한국에 다같이 왔을 것이다(웃음).”
-남세우 박사가 어떤 사람으로 기억되길 바라는지. 크리스탄: “코어(핵심) 기술을 발견한 과학자로, 창의적이고 열정적이고 헌신적이었던 과학자로.” 황지성: “백범 김구가 ‘눈길을 걸어갈 때 똑바로 걸어라, 오늘 내가 걸어간 발자국이 뒷사람의 이정표가 되리니’라는 시를 애송하셨다. 세우는 최선을 다해 과학의 길을 걸었고 그 뒤를 수많은 한국계 과학자가 걷게 될 것이다.”
-시상식인 오늘, 남편에게 인사를 건넨다면? 킴벌리: “자랑스럽고 영광스럽다. 당신이 이뤄낸 것이 정말 아름답다.” ☞남세우 1970년 서울 출생. 미국 MIT에서 물리학 학사, 전기공학 석사 학위를 받은 뒤 스탠퍼드대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올해 1월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25년 동안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종신연구원으로, 오바마 대통령의 백악관에서 과학기술정책분석 자문으로 일했다. 2017년 ‘존 스튜어트 벨 상’을 수상했다.
https://www.chosun.com/opinion/column/2024/06/10/PEY3RB4ANFEDTDP7TQBDFRSNY4/
메모 2406100401
소스1.의 글을 읽기 전에 나의 노트에는 수직선위에 한점에 모여드는 4개의 qpeoms의 zz'값을 표시했다. Dedekind Cut을 정의하기 위함이였다. 마치 단일광자를 더 자세히 드려다보며 거대한 4개의 힘의 세계가 만나는 한 점을 찾아낸 기분이다. 한점에 4개의 사각형이 꼭지점으로 놓인 모습이다.
*데데킨트 절단(Dedekind Cut)은 실수 체계의 구성에 사용되는 수학적 방법으로, 수학자 리하르트 데데킨트에 의해 고안되었다.
지금도 이른 새벽이고 나의 메모는 늘 우주 광역적이고 진리을 찾는데 기꺼이 내나이 지금, 노년기에도 여전히 매순간 도전적이다. 나는 여전히 무명의 마방진 우주 연구가이다.
소스1.
세계 양자 물리학계 스타였던 한국계 과학자 남세우를 아십니까?
남세우 미국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종신 연구원이 실험실에서 작업하는 모습. 지난 1월 53세 나이로 세상을 떠난 그는 세계 양자 물리학계의 스타였다.
1970년 서울 출생. 미국 MIT에서 물리학 학사, 전기공학 석사 학위를 받은 뒤 스탠퍼드대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올해 1월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25년 동안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종신연구원으로, 오바마 대통령의 백악관에서 과학기술정책분석 자문으로 일했다. 2017년 ‘존 스튜어트 벨 상’을 수상했다.
크리스탄 코윈: “그는 과학계의 협력을 가장 중요하게 여겼다. 경쟁하는 그룹에게도 자신의 기술을 기꺼이 공유했다.”
경쟁 그룹과도 기술 공유
-국적이 다른 여러 연구 그룹과의 협업이 활발했더라.
앨런: “보통 과학자들은 자기만의 좁은 아이디어에 국한해서 연구하는데 남 박사는 단일 광자 검출부터 핵전이에 이르기까지 워낙 넓은 범위를 연구하다 보니 콘퍼런스를 하면 1만명이 모였다. 그래서 실험실에선 세우와 페이스를 맞추려 하지 말라고, 그러면 다친다고 경고했다(웃음).”
크리스탄: “세우는 긍정적이고 열정적인 사람이었다. 뭣보다 능력이 뛰어나서 과학자들이 모이면 ‘세우와 널 비교하지 마라’며 서로 위로한 뒤 일을 시작했다(웃음).”
킴벌리: “남편은 늘 새로운 아이디어를 요구했다. 더 빨리, 더 정확히, 더 노력하라고 외쳐서 동료들이 힘들었을 것이다(웃음). 코로나로 재택근무를 할 때도 남편은 아이들과 노인들을 위한 코로나 바이러스 검출기를 개발했다. 바이러스 노출 여부를 스스로 감지하게 해주는 장치였다.”
-일중독이었을까?
킴벌리: “남편은 자신의 일에 5가지 확고한 신념을 갖고 있었다. 첫째, 열심히 한다. 둘째, 너무 작아서 할 수 없는 연구란 없다(No task was too small to do). 셋째, 공유(sharing)와 다양성이 현장(field)을 더 좋게 만든다. 넷째, 다른 연구자들을 북돋고 신뢰하자. 다섯째, 재미있게 일하자.”
1.
과학으로 세상을 보는 방법은 눈으로 사물을 보듯 단일 광자 검출기가 필요하다. 이를 발명한 사람이 한국계 남세우이다. 그의 나이 54세로 세상을 떠나기가 너무 아쉬운듯 하다. 매순간 과학자는 진리에 다가가려는 욕망이 있는데..어허.
Memo 2406100401
Before reading the article in Source 1., I marked the zz' values of four qpeoms converging at one point on a vertical line in my notebook. It was to define the Dedekind Cut. It feels as if I have looked more closely at a single photon and found a point where four huge worlds of force meet. It looks like four squares with vertices at one point.
*Dedekind Cut is a mathematical method used to construct the real number system, invented by mathematician Richard Dedekind.
It's still early in the morning, and my notes are always wide-ranging and willing to find the truth. Now, even in my old age, I am still challenged at every moment. I am still an unknown magic square space researcher.
Source 1.
Do you know Nam Se-woo, a Korean scientist who was a world star in quantum physics?
Nam Se-woo, a tenured researcher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NIST), works in the laboratory. He, who passed away last January at the age of 53, was a star in the world of quantum physics.
Born in Seoul in 1970. He received a bachelor's degree in physics and a master'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MIT, and a doctorate in physics from Stanford University. He served as a tenured researcher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NIST) for 25 years before his death in January of this year, and as an advisor o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analysis in President Obama's White House. He won the ‘John Stuart Bell Award’ in 2017.
Christan Corwin: “He placed the greatest importance on collaboration among the scientific community. “He was willing to share his skills with competing groups.”
Share your skills even with competing groups
-Collaboration with various research groups of different nationalities was active.
Allen: “Usually, scientists limit their research to their own narrow ideas, but Dr. Nam researched a very wide range, from single photon detection to nuclear transfer, so when he held a conference, 10,000 people gathered. So, he warned me not to try to keep pace with Seu in the lab or that I would get hurt (laughter).”
Christian: “Sewoo was a positive and passionate person. “He was so talented that when scientists gathered together, they consoled each other by saying, ‘Don’t compare yourself to Se-woo,’ and then they started working (laughter).”
Kimberly: “Her husband was always asking for new ideas. He must have had a hard time with his colleagues because he shouted to them to be faster, more accurate, and try harder (laughter). Even when working from home due to the coronavirus, her husband developed a coronavirus detector for children and the elderly. “It was a device that allowed itself to detect whether it had been exposed to a virus.”
-Was he a workaholic?
Kimberly: “Her husband had five firm beliefs about his work. First, work hard. Second, no research is too small to do. Third, sharing and diversity make the field better. Fourth, let’s encourage and trust other researchers. Fifth, let’s have fun working.”
One.
A scientific way of seeing the world requires a single photon detector, just like seeing things with your eyes. The person who invented it is Nam Se-woo of Korean descent. It's such a shame that he passed away at the age of 54. At every moment, scientists have a desire to get closer to the truth...uh-huh.
vix.a'6//vixx.a(b1,g3,k3,o5,n6)
b0acfd|0000e0
000ac0|f00bde
0c0fab|000e0d
e00d0c|0b0fa0
f000e0|b0dac0
d0f000|cae0b0
0b000f|0ead0c
0deb00|ac000f
ced0ba|00f000
a0b00e|0dc0f0
0ace00|df000b
0f00d0|e0bc0a
sample qoms (standard)
0000000011=2,0
0000001100
0000001100
0000010010
0001100000
0101000000
0010010000
0100100000
2000000000
0010000001
sample pms (standard)
q0000000000
00q00000000
0000q000000
000000q0000
00000000q00
0000000000q
0q000000000
000q0000000
00000q00000
0000000q000
000000000q0
Sample msoss
zxdxybzyz
zxdzxezxz
xxbyyxzz
zybzzfxzy
cadccbcdc
cdbdcbdbb
xzezxdyyx
zxezybzyy
bddbcbdca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