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 '북한' 의도적 외면…강경 예고냐, 외교적 여지냐
오바마 미 대통령이 워싱턴DC 의회 상·하원 합동회의장에서 국정연설을 하고 있다.
직접 거명 피하고 간접 비판…2년 연속 북한 거론 안해
'전략적 침묵' 해석…제재 유지속 상황변화 탄력대응 시사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20일(현지시간) 새해 국정연설에는 '북한'이란 낱말이 아예 없었다. 같은 미수교국인 쿠바와는 '역사적 화해'를, 이란과는 '핵협상'을 강조한 것과는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 새로운 국정키워드로 떠오른 '사이버 안보'를 강조하면서 소니 해킹사건의 `주범'으로 지목한 북한을 어떤 행태로든 거론할 것이라는 항간의 예상과는 달리 북한을 직접 언급하지 않았다. 다만 "어떤 외국이나, 어떤 해커도 우리의 네트워크를 셧다운하거나 영업비밀을 훔치고 어린이들을 포함한 가족들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할 수 없다"며 간접적으로 북한을 겨냥하는 데 그친 모양새다. 오바마 대통령의 국정연설문에 북한이 등장하지 않은 것은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이다. 오바마 대통령이 이날 연설에서 북한을 언급하지 않은 데에는 고도의 외교적 복선이 깔렸을 것이라는 게 워싱턴 외교가의 시각이다. 일단 이미 소니 해킹사건 수사결과 발표이후 '비례적 대응'을 천명하고 새로운 대북 제재 카드까지 꺼내 든 마당에 굳이 이번 연설에서 재론할 필요가 없었다는 해석이 있다. 더구나 이번 연설이 `중산층 껴안기'라는 대내 현안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대외 정책에 할애된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은 상황이었다. 북한은 말할 것도 없고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경우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협상과 역내 동맹 강화, 교역활성화, 해양분쟁 방지, 비핵화와 재난 구조 등 공통의 글로벌 과제를 간략히 언급하는데 그쳤다. 그러나 정책기조 측면에서 앞으로 대북 압박정책이 강화될 것임을 시사하려고 일부러 '무시' 또는 '외면'하는 전략을 구사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특히 소니 픽처스 해킹사건 이후 미국은 '조건반사적'인 제재국면에 돌입한 상태이다. 당초 북·미간에 어떤 대화도 마다하지 않겠다는 의욕을 보였던 오바마 행정부는 이 사건 이후 '비핵화'가 북·미 대화의 목적이어야 한다고 태도를 바꾸고 나섰다. 하지만, 오바마 대통령이 이번 연설에서 북한을 아예 언급하지 않은 것은 앞으로 외교적 여지를 남겨두려는 포석이라는 분석도 설득력 있게 나오고 있다. 앞으로의 대북정책이 강력한 제재에 무게중심을 두면서도 상황에 따라 대화의 문을 열어놓으려는 '전략적 침묵'이라는 얘기다. 한 외교소식통은 "북한이 '진정성 있고 신뢰할 수 있는' 비핵화 협상 의지를 보인다면 적극적으로 대화에 나선다는 게 미국 정부의 정리된 입장"이라고 말했다. 당장은 북·미관계 기상도가 밝지 않지만, 한국이 적극적으로 남북관계 개선을 추진하는 만큼 상황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려는 포석도 담겨 있다는 것이다. 외교가 일각에서는 오바마 대통령이 소니 해킹 사건 이후에도 대북 정책 전반에 대한 전략적 고민 없이 그냥 '방치'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비판적 시각도 없지는 않다. 오바마 대통령은 북한은 한마디도 언급하지 않았지만, 쿠바와 이란에는 매우 분명한 메시지를 던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쿠바에 대해서는 "50년간 유지해온 정책이 작동하지 않은 지금 새로운 것을 시도해야 할 시점"이라며 공화당이 장악한 의회에 금수조치를 끝내는 작업에 착수할 것을 주문했다. 특히 국교정상화 막후교섭 과정에서 결정적 역할을 했던 것으로 알려진 프란시스 교황이 "외교는 작은 조치들의 결과물"이라고 말한 대목을 거론하며 "작은 조치들은 쿠바의 미래에 새로운 희망을 더할 것"이라고 의회가 적극적으로 나서줄 것을 촉구했다. 이란의 경우 핵프로그램 개발이 중단되고 핵물질이 축소된 점을 핵협상의 성과로 꼽으면서 올봄 핵무장한 이란의 출현을 막는 포괄적 합의를 끌어낼 기회가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의회가 새로운 제재를 부과할 경우 외교가 실패하고 이란이 다시 핵개발에 나설 것이라며 대이란 제재법안이 통과될 경우 거부권을 행사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우주로 가는 구글, 스페이스X에 10억 달러 투자
스페이스X가 지난주 국제우주정거장으로 화물을 운송했다.
구글이 스페이스 엑스플로레이션 테크놀로지(스페이스X)에 약 10억 달러를 투자할 것으로 보인다. 위성을 통해 인터넷 접속을 제공하는 프로젝트를 지원하기 위해서다.
우주로 가는 구글, 스페이스X에 10억 달러 투자
삼성전자, "블랙베리 인수 의향 없다"
연내 출시될 2세대 구글글래스, 애플식 비밀주의 채택?
새로워진 구글 번역앱, 음성 대화∙사진 속 문구까지도 번역
구글, 안드로이드 브라우저 구버전 지원 중단한 듯
이번 투자로 엘론 머스크 테슬라모터스 CEO가 후원하는 스페이스X 가치가 100억 달러 이상으로 평가될 것으로 보인다고 위 소식을 전한 소식통은 밝혔다. 구글이 보유하게 될 스페이스X 지분은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다. 구글이 계약을 완료할 경우, 이 프로젝트는 고공풍선, 태양열 무인기 등과 함께 세계 오지에 인터넷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 개발 노력의 일부가 된다. 구글은 인터넷 접근을 확대함으로써 자사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사람들의 수를 늘릴 수 있다. 구글과 스페이스X 관계자는 관련 질문에 대한 답을 거절했다. 구글의 잠재적 투자 소식은 IT 블로그 ‘인포메이션’이 처음 보도했다. 구글은 1년여 동안 위성 기반 인터넷 서비스를 검토해 왔다. 2013년 말에는 위성 산업 전문가 그렉 와일러를 고용하기도 했으며, 지난해에는 그를 위해 일하는 직원이 10명도 넘었던 적이 있다. 와일러는 지난 여름 구글을 떠났으며 현재 자신만의 위성 인터넷 사업을 개발하고 있다. 스페이스X는 로켓과 우주선을 만들고 발사한다. 머스크는 지난주 전 세계에 인터넷을 제공하기 위해 비교적 낮은 궤도로 위성 수백대를 발사하는 스페이스X의 아이디어를 설명했다. 머스크는 이 프로젝트에 100억 달러가 들 수 있으며 최소 5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비즈니스위크에 밝혔다. 자금 조달이나 제조 계획에 대해서는 구체사항을 언급하지 않았다.
인터넷의 미래, '하늘'에 달려있다
혜성착륙 로제타호, "지구의 물은 소행성이 기원"
장애물에 부딪친 미국-러시아 우주 협력
"우주 선점 전쟁" 일본도 소행성 탐사선 곧 발사
‘인터스텔라’ 보셨습니까?
우주항공산업 관계자들에 따르면 머스크는 수개월간 스페이스X의 로켓 및 우주선 제조 사업을 위성 설계 및 제작으로까지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고심해 왔다. 그의 최근 발언은 구체성이 부족하긴 하지만 위와 같은 확장 계획을 장기적으로 고려하고 있다는 분명한 신호다. 설계를 하고 특수한 위성 제조 시설을 건설하는 데에는 수년이 걸릴 수 있다. 하지만 스페이스X는 이미 중요한 요소 몇 가지를 가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스페이스X가 우주선을 위한 운항 및 비행 제어 시스템을 제작한다고 밝혔다. 위성 제작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요소다. 오늘날 스페이스X가 만드는 우주선 태양전지판 부품과 위성용 장치 사이에 시너지 효과도 있다. 이 사업이 직면하고 있는 기술적, 재정적 장애물 중 하나는 위성 신호를 받을 수 있는 지상 안테나와 컴퓨터 단말기를 설치하는 비용이다. 이 문제는 초기의 위성 인터넷 프로젝트를 오랫동안 괴롭혔고 구글의 프로젝트 또한 어렵게 만들 수 있다고 위성업계 관계자들과 컨설턴트들은 말한다. 아직 해결되지 않은 또 다른 문제는 스페이스X가 어떻게 인터넷 신호를 지구까지 전송할 것인가 하는 문제다. 스페이스X는 무선 주파수대에 대한 통제권이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머스크는 위성에서 광레이저 기술을 사용하는 방법을 검토했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우주에 있는 위성에서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레이저는 지구에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안정적인 방법은 아니다. 무선 전파와 달리 구름을 쉽게 통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우주로 가는 구글, 스페이스X에 10억 달러 투자
유로화 휘청이면서 금값된 '금', 5개월래 최고가
중국, 거품 터트리려 나섰지만 주가는 아직 비현실적
MSCI 중국 지수에 알리바바•바이두 포함한다
올해 경제를 위협하는 가장 심각한 위험요소는?
이번 투자 협상은 머스크에게는 다소 이례적이다. 스페이스X에 대한 그의 지배권을 조금이라도 약화시킬 수 있는 외부 투자를 가장 반대해 온 인물이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문제가 발생할 경우 앞으로 수년간 스페이스X에게 새로운 로켓 개발과 발사를 위한 추가 자본이 필요할지도 모른다고 말한다. 협상 중인 계약 조건은 알려지지 않았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지난해 11월 머스크와 와일러의 협상을 다루며 위성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머스크의 관심을 보도한 바 있다. 와일러는 지난주 그의 새로운 사업 원웹이 리차드 브랜슨의 버진 그룹과 반도체 회사 퀄컴으로부터 자금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그는 자신이 통제하는 무선 주파수대를 이용해 저궤도 위성 648대로부터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와일러는 이 계획에 최대 20억 달러가 들 것으로 추산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머스크와 와일러는 합작 프로젝트의 지배권을 두고 합의에 이르지 못해 협력을 중단했다.
."삼성, 갤럭시S6에 퀄컴 칩 사용 않기로"
스냅드래곤810 발열 문제 추정…삼성 "결정된 바 없어"
삼성전자[005930]가 차기 전략 스마트폰인 갤럭시S6에 자사가 생산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를 사용할 것으로 보인다고 21일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기존 갤럭시S 시리즈 제품에 미국 퀄컴의 AP 브랜드인 스냅드래곤 시리즈를 사용해왔으나, 최신 모델인 스냅드래곤 810(64비트)을 테스트한 결과 문제가 있다고 판단해 이를 사용하지 않기로 했다. 이에 따라 올해 상반기에 출시될 예정인 갤럭시S6에는 삼성전자가 자체 제작한 AP인 엑시노스가 사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AP란 스마트폰의 두뇌 역할을 하는 칩으로, 일부 기능을 제외하면 스마트폰의 전반적인 성능은 사실상 AP에 따라 좌우된다. 현재 퀄컴이 점유율 40%가량으로 AP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삼성전자가 퀄컴의 AP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가 지난해 말부터 제기된 스냅드래곤 801의 발열 문제 때문으로 추정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삼성전자가 스마트폰 부품에 대한 자립도를 강화하고 있다"며 "삼성전자의 이 같은 결정은 세계 최대 스마트폰용 반도체 제조업체인 퀄컴에 타격을 입힐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대해 삼성전자는 "아직 결정된 바 없다"며 말을 아꼈다.
.삼성, 풀메탈 슬림 스마트폰 '갤럭시A5' 출시
삼성전자가 풀 메탈 바디에 뛰어난 셀프 카메라 기능을 갖춘 스마트폰 '갤럭시A5'를 오는 22일 이동통신 3사를 통해 동시 출시한다. 한 단계 사양이 높은 '갤럭시A7'은 이달 말 출시할 예정이라고 21일 밝혔다. 갤럭시A5와 갤럭시A7은 삼성전자가 처음으로 몸체 전부를 메탈로 만든 스마트폰이다. 게다가 두께도 삼성전자가 내놓은 갤럭시 모델 가운데 가장 얇다.
mss(magic square system)master:jk0620
http://blog.naver.com/mssoms
http://jl0620.blogspot.com
http://jk0620.tripod.com
독일 라테노프 52° 39' 31.17" N 12° 19' 39.68"
댓글